
728x90
반응형
1. AND 게이트
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대응 표를 진리표라고 함. 아래의 그림은 AND 게이트의 진리표로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을 출력하고, 그 외에는 0을 출력함.
AND 게이트 진리표를 만족하는 매개변수 조합은 (0.5, 0.5, 0.7) 등 무수히 많음.
2. NAND 게이트와 OR 게이트
NAND는 Not AND를 의미하며, 그 동작은 AND 게이트의 출력을 뒤집은 것이 됨.
NAND 게이트를 표현하려면 (w₁, w₂, θ) = (-0.5, -0.5, -0.7) 조합이 있음. 사실 AND 게이트를 구현하는 매개변수의 부호를 모두 반전하면 NAND 게이트가 됨.
OR 게이트는 입력 신호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회로임
더보기
💡 여기서 퍼셉트론의 매개변수 값을 정하는 것은 컴퓨터가 아니라 우리 인간임. 인간이 직접 진리표라는 '학습 데이터'를 보면서 매개변수의 값을 생각함. 기계학습 문제는 이 매개변수의 값을 정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하도록 함. 학습이란 적절한 매개변수 값을 정하는 작업이며, 사람은 퍼셉트론의 구조(모델)를 고민하고 컴퓨터에 학습할 데이터를 주는 일을 함.
반응형
'머신러닝&딥러닝 >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장 [Perceptron] 퍼셉트론의 한계와 XOR 게이트 (0) | 2025.09.02 |
---|---|
2장 [Perceptron] 퍼셉트론 구현하기 (1) | 2025.09.01 |
2장 [Perceptron] 퍼셉트론 정의 (2) | 2025.08.30 |
1장 [Python] matplotlib (0) | 2025.08.29 |
1장 [Python] 넘파이 기본 문법 정리 (2) | 2025.08.28 |